Slimmerplan LogoSlimmerplan
블로그 목록으로 돌아가기
영양 식단

중의학 다이어트: 굶지 않고 살빼는 3가지 핵심 원칙

천밍 박사·중의학 영양 전문가
8분 읽기
2024년 3월 20일
중의학 체중 감량건강한 식단약식동원체질 조절

중의학 다이어트의 지혜

건강하게 체중을 줄이고 싶어하는 사람들을 위해, 중의학 다이어트에는 3가지 핵심 원칙이 있어 굶지 않고도 서서히 체중을 줄일 수 있습니다. 중의학은 전체적인 조절을 강조하며, 적절한 식단 구성과 체질 조절을 통해 건강한 체중 감량 목표를 달성합니다.

"약식동원, 식료가 약보다 낫다. 적절한 식단 구성은 건강한 체중 감량의 근본이다." - 중의학 고전 이론

첫 번째 원칙: 오곡을 영양으로, 정제와 통곡물 조합

중의학에서는 오곡이 식단의 기초로, 몸에 충분한 에너지와 영양을 제공합니다. 체중 감량 기간 동안 주식을 완전히 끊지 말고, 백미와 백색 밀가루를 현미, 오트밀, 옥수수 등의 통곡물로 대체하세요.

통곡물은 식이섬유가 풍부해 포만감을 높이고 혈당 상승을 늦추며, 칼로리 섭취를 줄이면서도 배고픔을 느끼지 않게 합니다. 예를 들어 아침에 오트밀 한 그릇에 견과류 몇 개를 곁들여 먹으면 지속적인 에너지와 만족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원칙: 약식동원, 체질에 맞는 식단

사람마다 체질이 다르며, 체중 감량 시 자신의 체질에 맞는 식재료를 선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습열 체질인 사람은 의이인이나 동과 등 습기를 제거하는 음식을 더 많이 먹고, 음허 체질인 사람은 백목이거나 백합 등 음을 보하는 음식이 적합합니다.

이렇게 하면 영양 균형을 유지하면서 몸을 조절하고 체중 감량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녁 식사로 동과와 다시마로 만든 국을 먹으면 수분과 영양을 보충하면서 체내 습기를 배출하고 지방 축적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세 번째 원칙: 삼시구별, 적시에 식사

중의학에서는 "아침은 왕처럼, 점심은 귀족처럼, 저녁은 거지처럼" 먹는 것을 강조합니다. 아침은 영양이 풍부해야 하루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하고, 점심은 적당히 많이 먹어 오후 작업과 학습 효율을 보장하며, 저녁은 적게 먹고 가능하면 취침 3-4시간 전에 마쳐 소화 시간을 충분히 줍니다.

예를 들어 점심에는 현미에 찐 생선과 볶은 채소를 먹고, 저녁에는 채소 샐러드나 잡곡 죽을 선택하면 배부르게 먹으면서도 과도한 칼로리 섭취를 피할 수 있습니다.

체질 식별과 식재료 선택

중의학은 인체 체질을 9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며, 각 체질마다 특징과 적합한 식재료가 있습니다. 습열 체질자는 의이인, 적소두, 동과 등 수분을 배출하는 음식을 더 많이 섭취해야 하고, 기허 체질자는 산약, 연자, 대추 등 기를 보하고 비위를 튼튼하게 하는 식재료가 적합합니다.

양허 체질자는 생강, 계피 등 따뜻한 성질의 식재료를 적당히 섭취할 수 있고, 음허 체질자는 백목이, 백합, 구기자 등 음을 보하고 윤활하게 하는 음식을 더 많이 먹어야 합니다. 올바른 체질 식별은 체중 감량 성공의 핵심입니다.

계절별 식단 조절

중의학은 "천인합일"을 강조하며, 식단도 사계절 변화에 맞춰야 합니다. 봄에는 간기(肝氣)를 소통시키기 위해 부추나 향춘 등을 더 먹고, 여름에는 열을 내리고 더위를 해소하기 위해 녹두나 여주가 적합하며, 가을에는 건조함을 막고 폐를 보호하기 위해 백목이나 배를 선택하고, 겨울에는 신양(腎陽)을 따뜻하게 하기 위해 양고기나 호두 등을 적당히 섭취합니다.

계절에 맞춰 식단 구조를 조정하는 것은 체중 감량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체질을 강화하고 몸의 자연적인 조절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실천 적용과 주의 사항

실제 적용 시에는 식단 구조를 점진적으로 조정해야 합니다. 매일 한 가지 통곡물을 추가하는 것부터 시작해 정제 식품을 서서히 대체하세요. 동시에 음식 조합에 주의해 영양 균형을 확보합니다.

전문 중의학 의사와 상담해 체질 식별을 하고 개인 맞춤형 식단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체중 감량 과정에서 정기적으로 효과를 평가하고 몸의 반응에 따라 식단 전략을 조정하세요. 건강한 체중 감량은 점진적인 과정이며 서두르지 마세요.

천밍 박사

중의학 영양 전문가

이런 기사도 추천합니다